728x90
728x90
SMALL
1. 호스트명(장비 이름) 설정
> Switch# conf t * 전역 설정 모드(전반적인 설정이 가능한 모드)
> Switch(config)# hostname SW1 * SW1로 호스트명 지정
2. IP 주소 설정
> Switch(config)#int vlan100 * 생성된 vlan100으로 interface 모드 진입
> Switch(config-if)#ip address 192.168.0.1 255.255.255.0 * ip주소 192.168.0.1 할당
> Switch(config-if)#no shutdown
* 인터페이스 활성화, shutdown인 경우에는 IP를 부여하더라도 작동 X
* 논리적으로 설정을 바꾸는 것
* 스위치의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 모두 활성화 되어있음 (no shutdown 상태)
3. 인터페이스 설정
- Switch에서 Interface라고 하면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물리적인 포트
★ 인터페이스 일괄 설정
> Switch(config-if)#interface range gi1-23 * 인터페이스 일괄 설정(range 1~23)
> Switch(config-if)#switchport access vlan 100 * vlan100을 할당
> Switch(config-if)#switchport mode access
* access로 변경(access 모드 : VLAN를 사용하는 전용 통신)
> Switch(config-if)#spanning-tree portfast * access port 딜레이 절약 명령어
★ 인터페이스 trunk 설정
> Switch(config-if)#int g24 * 24번 포트 설정
> Switch(config-if)#switchport mode trunk * trunk로 변경
> Switch(config-if)#exit * 인터페이스 설정모드 나가기
4. 게이트웨이 설정
> Switch(config)#ip default-gateway 198.168.0.254 * 기본적으로 설정된 라우팅 경로
5. enable password 설정
> Switch# config t
> Switch(config)# enable secret password * password 자리 -> 암호입력
> Switch(config)# end
> Switch# write
6. 원격접속(SSH)
- SSH는 원격 접속을 암호화를 통해서 제공하는 서비스
- SSH는 AES방식과 RSA 두가지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암호화
- SS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키 생성 필요(hostname, serial-number, domain)
- hostname과 serial-number는 기본적으로 장비에 있으니, 도메인 생성만 따로 해주면 됨
> Switch(config)#ip domain name cisco * DNS 도메인 생성
> Switch(config)#crypto key generate rsa * SSH의 RSA 키 생성
★ 콘솔에서 ssh 접속하는 방법
> Switch(config)#ssh –l cisco 192.168.0.1 * ssh 접속
Password : * 패스워드 입력
Hostname# * 정상적으로 로그인 되면 호스트이름이 바뀜
7. Tip
★ TAB 누르면 명령어 자동완성
★ 명령어 입력 후 ? 누르면 해당 명령어 뒤에 올 수 있는 옵션을 알려줌
★ Show running-config : 전체 설정 내용 확인 ( 설정 완료 후, 트러블슈팅 시에 확인)
★ 명령어 삭제 시 명령어 앞 no 사용
728x90
728x90
LIST
'Infr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PE Comware 기반 L3 스위치에서 특정 시간대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방법① (0) | 2025.03.11 |
---|---|
인프라 아키텍처 (1) | 2025.03.08 |
NAC(Network Access Control) 이란? (0) | 2025.03.01 |
L2 Switch, PuTTY와 콘솔 연결을 이용해 CLI 사용 (0) | 2025.02.25 |
허브와 스위치 차이 및 비교 (0) | 2025.02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