허브 (Hub)
● 사용 계층 : 물리 계층 (Layer 1)
● 설명 : 허브는 네트워크 상의 여러 장치를 하나로 연결하는 장비로, 데이터를 단순히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. 물리 계층(Layer 1)에서 주로 사용되며, "데이터 전송"만 이루어진다. 이때 데이터의 내용이나 목적지는 인식하지 않는다.
허브는 각 포트에 데이터를 그대로 전달하기 때문에, 네트워크 내 장치들 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담당한다. 허브로 연결된 네트워크에서는 모든 연결된 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하고, 각 장치는 자신이 수신할 데이터인지 확인한 후, 필요 없는 데이터는 무시한다.
데이터를 "브로드캐스트"하여 모든 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며, 이로 인해 트래픽 증가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. 또한, 보안상으로도 허브를 사용한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든 장치가 서로의 데이터를 볼 수 있어 취약점이 존재한다.
스위치 (L2 스위치)
● 사용 계층 : 데이터 링크 계층 (Layer 2)
● 설명 : 스위치는 허브의 "브로드캐스트"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보완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이다.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, 수신된 데이터를 목적지 장치에만 전송한다. 즉, 출발지와 목적지를 인식할 수 있다. 원하는 목적지에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기에 대역폭 낭비를 줄이고, 충돌 가능성도 적다.
그리고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가상 LAN(VLAN)을 제공한다! (VLAN 포스팅을 위해서 현재 빌드업 중입니다.)
허브 vs 스위치 비교
특징 | 허브 (Hub) | 스위치 (Switch) |
---|---|---|
사용 계층 | 물리 계층 (Layer 1) | 데이터 링크 계층 (Layer 2) |
데이터 처리 방식 |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모든 장치에 전송 |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목적지 장치에만 전송 |
목적지 인식 | 목적지 인식 안 함 (모든 장치에 전송) | 목적지 장치 인식 (MAC 주소를 통해) |
대역폭 낭비 | 데이터가 모든 장치로 전송되어 대역폭 낭비 발생 | 목적지 장치에만 데이터를 전달하여 대역폭 낭비 감소 |
충돌 가능성 | 네트워크 내에서 충돌 발생 가능 | 충돌 가능성 적음 (각 포트 독립적 처리) |
보안성 | 보안성 낮음 (모든 장치가 데이터 수신 가능) | 보안성 높음 (목적지 장치만 데이터 수신) |
기능 | 단순 데이터 전송 | MAC 주소 학습, VLAN 지원, 효율적 데이터 전달 |
VLAN 지원 | 지원하지 않음 | 지원 (여러 논리적 네트워크로 분할 가능) |
네트워크 관리 | 관리 기능 없음 | 고급 기능 지원 (VLAN, 포트 기반 관리 등) |
가격 | 상대적으로 저렴 | 상대적으로 비쌈 |
주요 사용처 | 소규모 네트워크, 간단한 연결 필요 시 | 중대형 네트워크, 성능 및 보안이 중요한 환경 |
'Infr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PE Comware 기반 L3 스위치에서 특정 시간대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방법① (0) | 2025.03.11 |
---|---|
인프라 아키텍처 (1) | 2025.03.08 |
NAC(Network Access Control) 이란? (0) | 2025.03.01 |
Cisco L2 스위치 기본 설정 (0) | 2025.02.26 |
L2 Switch, PuTTY와 콘솔 연결을 이용해 CLI 사용 (0) | 2025.02.25 |
허브 (Hub)
● 사용 계층 : 물리 계층 (Layer 1)
● 설명 : 허브는 네트워크 상의 여러 장치를 하나로 연결하는 장비로, 데이터를 단순히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. 물리 계층(Layer 1)에서 주로 사용되며, "데이터 전송"만 이루어진다. 이때 데이터의 내용이나 목적지는 인식하지 않는다.
허브는 각 포트에 데이터를 그대로 전달하기 때문에, 네트워크 내 장치들 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담당한다. 허브로 연결된 네트워크에서는 모든 연결된 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하고, 각 장치는 자신이 수신할 데이터인지 확인한 후, 필요 없는 데이터는 무시한다.
데이터를 "브로드캐스트"하여 모든 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며, 이로 인해 트래픽 증가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. 또한, 보안상으로도 허브를 사용한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든 장치가 서로의 데이터를 볼 수 있어 취약점이 존재한다.
스위치 (L2 스위치)
● 사용 계층 : 데이터 링크 계층 (Layer 2)
● 설명 : 스위치는 허브의 "브로드캐스트"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보완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이다.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, 수신된 데이터를 목적지 장치에만 전송한다. 즉, 출발지와 목적지를 인식할 수 있다. 원하는 목적지에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기에 대역폭 낭비를 줄이고, 충돌 가능성도 적다.
그리고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가상 LAN(VLAN)을 제공한다! (VLAN 포스팅을 위해서 현재 빌드업 중입니다.)
허브 vs 스위치 비교
특징 | 허브 (Hub) | 스위치 (Switch) |
---|---|---|
사용 계층 | 물리 계층 (Layer 1) | 데이터 링크 계층 (Layer 2) |
데이터 처리 방식 |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모든 장치에 전송 |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목적지 장치에만 전송 |
목적지 인식 | 목적지 인식 안 함 (모든 장치에 전송) | 목적지 장치 인식 (MAC 주소를 통해) |
대역폭 낭비 | 데이터가 모든 장치로 전송되어 대역폭 낭비 발생 | 목적지 장치에만 데이터를 전달하여 대역폭 낭비 감소 |
충돌 가능성 | 네트워크 내에서 충돌 발생 가능 | 충돌 가능성 적음 (각 포트 독립적 처리) |
보안성 | 보안성 낮음 (모든 장치가 데이터 수신 가능) | 보안성 높음 (목적지 장치만 데이터 수신) |
기능 | 단순 데이터 전송 | MAC 주소 학습, VLAN 지원, 효율적 데이터 전달 |
VLAN 지원 | 지원하지 않음 | 지원 (여러 논리적 네트워크로 분할 가능) |
네트워크 관리 | 관리 기능 없음 | 고급 기능 지원 (VLAN, 포트 기반 관리 등) |
가격 | 상대적으로 저렴 | 상대적으로 비쌈 |
주요 사용처 | 소규모 네트워크, 간단한 연결 필요 시 | 중대형 네트워크, 성능 및 보안이 중요한 환경 |
'Infr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PE Comware 기반 L3 스위치에서 특정 시간대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방법① (0) | 2025.03.11 |
---|---|
인프라 아키텍처 (1) | 2025.03.08 |
NAC(Network Access Control) 이란? (0) | 2025.03.01 |
Cisco L2 스위치 기본 설정 (0) | 2025.02.26 |
L2 Switch, PuTTY와 콘솔 연결을 이용해 CLI 사용 (0) | 2025.02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