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728x90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269
문제
자연수를 원소로 갖는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A와 B가 있다. 이때, 두 집합의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두 집합 A와 B가 있을 때, (A-B)와 (B-A)의 합집합을 A와 B의 대칭 차집합이라고 한다.
예를 들어, A = { 1, 2, 4 } 이고, B = { 2, 3, 4, 5, 6 } 라고 할 때, A-B = { 1 } 이고, B-A = { 3, 5, 6 } 이므로,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1 + 3 = 4개이다.
입력
첫째 줄에 집합 A의 원소의 개수와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집합 A의 모든 원소가, 셋째 줄에는 집합 B의 모든 원소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각각 주어진다. 각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200,000을 넘지 않으며, 모든 원소의 값은 100,000,000을 넘지 않는다.
출력
첫째 줄에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한다.
풀이
set함수의 특징을 이용해서 ^(대칭차집합)으로 답을 구해주었다!! 그런데 .. 생전 처음 백준문제를 파이썬으로 풀다보니 ... 난관 봉착.. 하나씩 입력하면 답은 나오는데 한 줄씩 입력하니 답이 안 나오는 것이었다. 구글링해보다가 map(int input().split()) 을 알게 되었고 이거 쓰니 정답이더라,, 다 풀고나서 의미 찾아보니
아하...! 파이썬은 참 어렵다,,
a, b =map(int,input().split(' '))
list_a=set(map(int,input().split(' ')))
list_b=set(map(int,input().split(' ')))
print(len(list_a^list_b)) # 대칭 차집합
728x90
728x90
'Programm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aggle : Intermediate Machine Learning ② (0) | 2023.03.19 |
---|---|
kaggle : Intermediate Machine Learning ① (1) | 2023.03.18 |
[Python] "혼자 공부하는 파이썬" 정리 ② (함수, 튜플, 람다) (0) | 2023.02.14 |
[Python] "혼자 공부하는 파이썬" 정리 ① (리스트, 딕셔너리, 기본구문) (0) | 2023.02.14 |
그래프(Graph)구현 : 인접행렬과 인접리스트 (1) | 2023.02.01 |